본문 바로가기
정보공장

증여세 세율 면제한도 계산방법 총정리(2023 세법 개정안)

by 화니머니 2023. 10. 10.

2023년 세법개정안에 따르면 증여세 관련 개정안이 나왔습니다. 오늘은 가족이나 자녀에게 재산중에 부동산이나 현근을 증여를 하는 경우 증여세 세율 및 면제 한도와 증여세 계산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증여세 세율 면제한도 계산방법
증여세 세율 면제한도 계산방법

 

최근 서울 평균아파트 가격이 약 12억 원이라는 발표를 통해 자녀들이 부모의 도움 없이 결혼을 하더라도 내 집을 장만하기는 더욱 어렵다고 생각이 됩니다. 정부에서는 증여세 최대 3억 원 공제 법안을 국회에 제출하여 관심이 더욱 뜨거워지고 있습니다.

 

 

증여세란

가족을 포함하여 타인으로부터 재산을 무상으로 증여받은 경우 그 재산을 증여받은 사람이 내야 하는 세금입니다. 대가 없이 받은 것에 대해 부과하는 것으로 현금뿐만 아니라 주식이나 부동산, 가상 자산 등 모든 것을 포함합니다.  

 

 

증여세 세율

증여세 산출 세액은 과세표준에 세율을 곱하여 계산하며 증여세율은 최저 10% ~ 최대 50%까지 5단계로 적용됩니다.

 

증여세 세율
증여세 세율

 

증여세 면제한도

가족이나 타인으로부터 무상으로 재산을 증여받은 경우 증여세를 내야 합니다. 하지만 증여세 면제한도에 해당한다면 증여세를 절감할 수 있습니다.

 

 

1. 부부간 증여 : 6억 원

2. 직계존속 및 직계비속(성년자)의 증여 : 5,000만 원 (결혼하는 자녀인 경우 1억 원 추가 공제)

3. 직계존속 및 직계비속(미성년자)의 증여: 2,000만 원

4. 기타 친족(형제, 자매포함)의 증여 : 1,000만 원

 

증여세 면제한도

2023년 세법개정안에 따라서 결혼은 하는 자녀에게 재산을 물려줄 수 있는 증여세 면제한도가 5,000만 원에서 1억 5천만 원으로 증가했습니다. 부부의 양가 부모님이 각각 1억 5천만씩 증여를 할 경우 최대 3억 원까지 공제를 받을 수 있으니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증여세 면제한도 기한은 10년입니다. 10년 동안의 거래내역을 모두 합산하여 그 기준을 넘을 경우 증여세가 과세됩니다. 

 

 

증여세 계산방법

증여세 계산방법은 증여받은 재산가액에서 면제되는 한도금액만큼의 뺀 다음 세율을 곱해주고, 마지작에 누진공제액을 빼주면 최종적으로 부담해야 하는 증여세가 산출됩니다.

 

1. 과세표준

증여받은 재산에서 면제한도를 빼 주면 과세표준금액이 됩니다.

 

2. 증여세 계산방법

증여세 세율은 10% ~ 50%까지 적요합니다. 과세표준 금액에 따라 10% ~ 50%를 적용하면서 누진공제액을 차감한 증여세가 산출되기에 다음음 현금 5억 원을 받았을 때 내야 하는 세금을 알아보겠습니다.

 

☞ 증여세 계산방법 예시로 부모가 성인 자녀에게 현금 5억 원을 증여할 경우 계산을 해보겠습니다.

증여세 계산방법 예시
증여세 계산방법 예시

3. 증여세 세액 계산예시

부모가 자녀에게 현금 5억 원을 증여한다면 예시표와 같이 5,000만 원을 증여공제한 후 과세표준금액에 따른 산출세액이 나오고 기한 내에 신고하여야 추가 3% 공제를 받을 수 있으니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증여세 계산 포인트

1. 무상으로 증여를 받은 수증자는 동일인에게 10년간 면제한도 이내로만 받으면 비과세 됩니다.

2. 세대를 건너뛴 증여세는 산출세액의 30%가 세대생략가산액으로 할증과세됩니다.

3. 기타 친족에 해당하는 경우는 형제, 며느리, 사위에 해당되기에 공제한도는 1,000만 원입니다.

 

 

정부에서 2024년 1월 1일 이후부터 결혼한 자녀에게는 기본 5,000만 원 공제한도에 추가로 1억 원을 공제한다고 발표하였습니다.  자녀가 혼인신고 전후 2년 안에 1억 5,000만 원을 주었다면 증여세 면제가 된다는 것입니다.

 

이상으로 증여세 세율 및 공제한도와 증여세 계산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2023년 세법 개정안에 따라 부모가 자녀에게 재산 증여를 하는데 세금에 대한 부담이 완화되었으면 합니다. 또한 증여에 대하여 많은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