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3년 세법개정안에 따르면 증여세 관련 개정안이 나왔습니다. 오늘은 가족이나 자녀에게 재산중에 부동산이나 현근을 증여를 하는 경우 증여세 세율 및 면제 한도와 증여세 계산법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최근 서울 평균아파트 가격이 약 12억 원이라는 발표를 통해 자녀들이 부모의 도움 없이 결혼을 하더라도 내 집을 장만하기는 더욱 어렵다고 생각이 됩니다. 정부에서는 증여세 최대 3억 원 공제 법안을 국회에 제출하여 관심이 더욱 뜨거워지고 있습니다.
증여세란
가족을 포함하여 타인으로부터 재산을 무상으로 증여받은 경우 그 재산을 증여받은 사람이 내야 하는 세금입니다. 대가 없이 받은 것에 대해 부과하는 것으로 현금뿐만 아니라 주식이나 부동산, 가상 자산 등 모든 것을 포함합니다.
증여세 세율
증여세 산출 세액은 과세표준에 세율을 곱하여 계산하며 증여세율은 최저 10% ~ 최대 50%까지 5단계로 적용됩니다.
증여세 면제한도
가족이나 타인으로부터 무상으로 재산을 증여받은 경우 증여세를 내야 합니다. 하지만 증여세 면제한도에 해당한다면 증여세를 절감할 수 있습니다.
1. 부부간 증여 : 6억 원
2. 직계존속 및 직계비속(성년자)의 증여 : 5,000만 원 (결혼하는 자녀인 경우 1억 원 추가 공제)
3. 직계존속 및 직계비속(미성년자)의 증여: 2,000만 원
4. 기타 친족(형제, 자매포함)의 증여 : 1,000만 원
2023년 세법개정안에 따라서 결혼은 하는 자녀에게 재산을 물려줄 수 있는 증여세 면제한도가 5,000만 원에서 1억 5천만 원으로 증가했습니다. 부부의 양가 부모님이 각각 1억 5천만씩 증여를 할 경우 최대 3억 원까지 공제를 받을 수 있으니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증여세 면제한도 기한은 10년입니다. 10년 동안의 거래내역을 모두 합산하여 그 기준을 넘을 경우 증여세가 과세됩니다.
증여세 계산방법
증여세 계산방법은 증여받은 재산가액에서 면제되는 한도금액만큼의 뺀 다음 세율을 곱해주고, 마지작에 누진공제액을 빼주면 최종적으로 부담해야 하는 증여세가 산출됩니다.
1. 과세표준
증여받은 재산에서 면제한도를 빼 주면 과세표준금액이 됩니다.
2. 증여세 계산방법
증여세 세율은 10% ~ 50%까지 적요합니다. 과세표준 금액에 따라 10% ~ 50%를 적용하면서 누진공제액을 차감한 증여세가 산출되기에 다음음 현금 5억 원을 받았을 때 내야 하는 세금을 알아보겠습니다.
☞ 증여세 계산방법 예시로 부모가 성인 자녀에게 현금 5억 원을 증여할 경우 계산을 해보겠습니다.
3. 증여세 세액 계산예시
부모가 자녀에게 현금 5억 원을 증여한다면 예시표와 같이 5,000만 원을 증여공제한 후 과세표준금액에 따른 산출세액이 나오고 기한 내에 신고하여야 추가 3% 공제를 받을 수 있으니 확인하시길 바랍니다.
증여세 계산 포인트
1. 무상으로 증여를 받은 수증자는 동일인에게 10년간 면제한도 이내로만 받으면 비과세 됩니다.
2. 세대를 건너뛴 증여세는 산출세액의 30%가 세대생략가산액으로 할증과세됩니다.
3. 기타 친족에 해당하는 경우는 형제, 며느리, 사위에 해당되기에 공제한도는 1,000만 원입니다.
정부에서 2024년 1월 1일 이후부터 결혼한 자녀에게는 기본 5,000만 원 공제한도에 추가로 1억 원을 공제한다고 발표하였습니다. 자녀가 혼인신고 전후 2년 안에 1억 5,000만 원을 주었다면 증여세 면제가 된다는 것입니다.
이상으로 증여세 세율 및 공제한도와 증여세 계산방법을 알아보았습니다. 2023년 세법 개정안에 따라 부모가 자녀에게 재산 증여를 하는데 세금에 대한 부담이 완화되었으면 합니다. 또한 증여에 대하여 많은 도움이 되셨으면 합니다.
'정보공장'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4 기초연금 수급자격 개혁안 계산 (0) | 2023.11.01 |
---|---|
주정차위반 과태료 단속기준 조회방법 납부방법 사전예방 알림서비스 (1) | 2023.10.11 |
경기도 동물병원 진료비 부가세 면세 확대적용 (0) | 2023.10.06 |
경기도 청년지원금 청년기본소득 자격요건 지원내용 신청방법 (0) | 2023.09.21 |
아이폰 15 프로 프로맥스 사전예약 (0) | 2023.09.14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