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보공장

경기도부동산 포털 깡통전세 매물 확인하기

by 화니머니 2023. 6. 28.

요즘 매일 핫이슈 되어 거론되는 깡통전세, 빌라왕 전세사기 등이 매스컴을 통해 보도되고 있습니다. 경기도부동산 포털 사이트에서는 깡통전세 피해 얘방을 위항 깡통전세 알아보기를 할 수 있습니다. 경기도의 과거 및 부동산 거래현황을 조회해 볼 수 있는 경기도부동산 포털에 대하여 알아보겠습니다.

 

경기도부동산포털

 

경기도부동산포털 사이트는 요즘 전세보증금이 매매가를 웃도는 집을 확인하고 전세 계약 시 거래정보와 주변시세정보를 충분히 확인하여 피해를 예방할 수 있게 도움을 받을 수 있습니다

 

 

경기도부동산포털 사이트

부동산거래에서 전 세계적으로 전세라는 거래는 우리나라만 있다고 합니다. 중개시장에서 최근 더욱 위험요소를 안고 있는 전세시장에서 건축업자의 조직적인 집단 사기로 서민의 피해자를 만들어 내고 있는 깡통전세를 처음부터 예방하고 확인하기 위하여 경기도에서 경기도부동산포털을 통해 정보를 제공합니다.

 

경기도부동산포털 홈페이지

 

 

부동산 초보를 위한 집 구하는 꿀팁

부동산 초보를 위한 부동산 기초 상식부터 내 집 마련을 하기 위하여 무주택자를 위한 부동산 상식, 전, 월세 계약 만기를 앞둔 임차인을 위한 지침서까지 경기도부동산포털 사이트를 통하여  온라인 동영상을 통하여 별도 수강료 없이 학습할 수 있는 강좌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부동산 초보를 위한 집 구하는 꿀팁
부동산 초보를 위한 집구하는 꿀팁 강의 듣기

 

강의순서 강의 내용
제 1 강 부동산 초보를 위한 부동산 기초상식
제 2 강 내 집 마련 앞당기는 무주택자를 위한 부동산 상식
제 3 강 내게 맞는 대출 찾기
제 4 강 똑똑하게 집을 구경하는 방법
제 5 강 부동산 계약시 주의해야 할 점
제 6 강 집 보증금 안전하게 지키기
제 7 강 부동산 거래 신고
제 8 강 초보 임차인을 위한 똑똑한 전월세살이
제 9 강 전월세 계약 만기를 앞둔 임차인을 위한 지침서
제 10 강 사회적 약자를 위한 부동산 지원책

 

 

깡통전세 확인하기

경기도부동산포털을 통하여 주소창에 주소를 입력하여 검색하거나 지도 보기를 통하여 특정 주택을 선택하여 확인합니다.

깡통전세 위험을 알리기 위한 주변시세를 파악할 수 있습니다.

 

깡통전세 확인하기

 

깡통전세 주의사항

1. 계약전 할 일 

① 공인중개사사무소의 정상등록 여부를 확인한다.

공인중개사사무소, 공인중개사, 중개보조원 정상 등록 정보를 확인한다.

 

공인중개사사무소 등록여부확인

 

② 임대 물건의 건축물대장, 등기부등본, 납세증명서 등 서류를 확인한다.

 

종  류 내   용
건축물 대장 정확한 소재지, 소유자, 면적 등의 정보를 확인하고  '위반건축물' 여부를 확인한다.
등기부등본 건축물대장의 주소와 같은지 확인후 갑구 '소유자', 을구 '근저당권''전수위 권리관계'등의 정보를 정확히 확인한다.
납세증명서 국새, 지방세 체납여부 등을 확인한다.

 

건축물대장 발급하기
건축물대장 발급 사이트

 

 

인터넷 등기소
등기부등본 발급하기

 

 

 

등기부등본 인터넷 발급 및 열람방법

부동산의 매매 또는 임대를 계약할 경우 기본적으로 등기부등본을 확인하게 됩니다. 등기부등본은 부동산 계약을 할 때 아파트나 주택, 건물에 대하여 소유자확인과 부동산에 관한 권리관계와

goblue2022.tistory.com

 

국세완납증명서 홈텍스
국세완납증명서 확인하기

 

 

지방세 납세증명서 확인
지방세 납세증명서 확인하기

 

③ 집주인 신분증 등 서류 진위 여부를 확인한다.

 

 

등기부등본의 소유자가 계약하러 온 집주인과 동일인물인지 확인한다. 

 

주민등록증 진위 확인하기

 

 

④ 집주인 대신 '대리인'이 위임장을 가지고 계약하러 올경우 확인사항

▶ 집주인의 인감증명서(부동산 임대차 계약용)가 첨부되어 있는지 확인하고 직접 집주인과 영상통화하여 집주인 신분증과 얼굴 대조 및 계약 내용에 대해 확인하여야 합니다.

 

2. 계약후 할 일

① 계약 당일 계약서에 확정일자 부여받고 전입신고를 해야 한다.

계약일에 확정일자를 부여받고 전입신고를 해야 대항력(익일 0시 효력발생) 있는 임차인의 요건을 갖추게 되며, 채권자의 지위를 갖게 되어 보증금을 지킬 수 있습니다.

 

② 주택 전월세 신고를 해야 한다.

<부동산 거래신고등에 관한 법률> 개정에 따라 2021년 06월 01일부터 주택 전월세 신고 의무화가 되었습니다.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금액, 지역에 적용되며 계약일로부터 30일 이내 임대차계약당사자가 신고해야 합니다.

 

 

 

③ 임대(전세) 보증금 반환 보증에 가입한다.

HUG주택도시보증공사, SGI서울보증, HF한국주택금융공사에 보증가입을 해야 집주인과 보증금 반환 문제 발생 시 보증사로부터 임대보증금을 돌려받을 수 있습니다.

 

등록임대사업자의 신규 등록 주택은 보증가입 의무(임대인 75%, 임차인 25% 부담) 대상이며, 기존주택은 2021년 08월 18일부터 임대차계약 체결하는 경우 의무가입입니다.

 

 

④ 주택임대차 분쟁 관련 상담

▶ 경기도 무료법률상담실 ☎ 031-120

▶ 한국부동산원 임대차 상담센터 ☎ 1644 - 5599

▶ 대한법률구조공단 상담안내 ☎ 132

 

 

깡통전세를 알아보자(전세사기 사례)

1. 갭투자 및 바지 집주인인지 확인하고 시세를 알기 어려운 신축빌라에서 주로 발생합니다. 집주인은 전세 보증금을 시세와 같게 부풀려 세입자와 임대차 계약 후 불량 임대사업자 등에게 명의를 넘기는 경우입니다.

 

2. 건물 전체가 모두 전세로 되어있을 경우 발생합니다. 다가구, 상가주택 등 공인중개사와 집주인이 짜고 건물 내 모든 호실을 전세로 만든 뒤 경매로 넘겨 세입자의 보증금을 가로채는 경우입니다.

 

3. 전월세 이중계약이 되었을 경우 발생합니다. 집주인과 월세계약을 한 임차인이 집주인 행세를 하며 새로운 세입자와 전세계약을 하고 집주인에게는 월세계약을 했다고 거짓말을 하고, 대리인이 새로운 세입자와 전세계약을 하여 세입자의 보증금을 가로채는 경우입니다.

 

4. 동일물건 이중, 삼중계약의 경우 발생합니다. 하나의 임대물건을 2인 이상의 세입자와 각각 전세계약을 체결하여 보증금을 가로채는 경우입니다.

 

5. 신탁사 소유 건물을 가지고 사기 치는 경우 발생합니다. 건물주인은 신탁사에 소유권을 넘긴 뒤 은행대출을 받고, 공인중개사와 결탁하여 세입자의 배당순위를 신탁사보다 우선해 준다고 속이고 전세계약 체결 후 보증금을 가로채는 경우입니다.

 

6. 전세대출사기의 경우 발생합니다. 임대인과 임차인이 결탁하여 정부기금으로 운영되는 전세자금 대출을 허위로 받는 경우입니다.

 

경기도 도민들의 부동산 정보를 실생활에서 활용할수 있도록 경기도부동산포털을 매년 신규 서비스를 확대하고 있다고 합니다. 부동산초보들의 위한 알찬 강의를 통해 동영상을 보고 부동산 거래시 소중한 자신의 재산을 지킬수 있었으면 합니다.

댓글